
귀여운 외모, 한 발 한 발 걸을 때마다 윤기 있게 흐르는 털까지 묘사한 디즈니의 섬세한 CG 능력 때문에 티저 사진 발표 때부터 많은 인기와 기대감을 품었던 실사화 '라이온킹'. 하지만 막상 개봉 후에는 호불호의 반응으로 나뉘고 있습니다. 1. 너무 사실적인 것이 독이 되었다. 영화 관람을 한 관객들의 반응은 '애니메이션이 아니라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지루함을 느꼈다는 평이 있습니다.' 이는 CG의 장점인 자연의 웅장함을 표현하려 했던 감독들의 의도와는 다르게 영상이 너무 사실적인 나머지 발생한 단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사실적인 CG가 이번 라이온킹이 처음인 것은 아닙니다. 영화 '정글북'의 경우 애니메이션을 실사화한다는 우려와는 다르게 섬세하고 풍부한 자연의 표현과 함께 인물과 캐릭터들의 조..

아래의 웹툰 웹 소설계의 현실을 본 후에 웹 소설을 처음 시작하려는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드리는 팁을 적어보았습니다. 아직 처음이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가 되었기를 바랍니다. 1. 자신이 글을 쓰려는 장르를 먼저 정해라. 처음 자신이 글을 쓰려고 할 때, '웹 소설 올리려는데 어느 사이트가 좋은가요?'부터 묻는 분들이 있습니다. 만약 이 글을 읽는 누군가도 웹 소설 사이트부터 고려하고 있다면 그 전에 먼저 자신이 글을 쓰려는 '장르'를 확실하게 정하는 게 중요합니다. 이는 단순히 로맨스, 판타지, 무협 이런 방식으로 큰 카테고리로 정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장르를 확실히 정하라고 하는 이유는 '웹 소설 사이트마다 강..

글을 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요즘은 웹툰의 인기 못지않게 웹 소설의 인기 또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웹툰 신과 함께, 치즈인더트랩 등이 영화로 제작되었다면 웹 소설은 그녀의 사생활, 김 비서가 왜 그럴까, 구르미 그린 달빛 등 주로 드라마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소위 '잘 나가는 웹소설 작가'는 억대 연봉을 벌 정도라고 하니, 웹툰뿐만 아니라 웹 소설에도 많은 창작자가 몰리고 있죠.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6년 웹 소설 작가 중 8.2%가 연 1억 원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하지만 35.8%의 많은 비율은 1000만 원 미만의 수익을 버는 것으로 양극화가 심한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웹 소설, 웹툰의 경우 유료 결제가 많을수록 작가에게 돌아가는 수익이..
이 블로그를 시작한 이유는 창작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종종 글을 쓰는 창작자분들이 소재를 찾고 싶다거나 글을 쓰는 방법이나 그 외의 유용한 정보를 알고 싶음에도 이를 알지 못해서 아쉬워하는 모습을 보고 조금이나마 힘이 될 수 있을까 생각하며 블로그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이 블로그는 제가 '창작 소재 정보제공' 및 '글 쓰는 방법, 유용한 정보 제공'의 방향으로 진행되며 영화나 미술 쪽으로는 아는 지식이 적기 때문에 주로 출처를 밝히고 정보를 제공할 것 같습니다. (즉, 거의 글 소재나 글 정보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는 블로그인 점 참고 바랍니다.) 저도 이 블로그를 통해 하나씩 배워나가고, 정보를 알아가는 입장이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 서툴고 부족할 수 있습니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