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이마트나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에서 손쉽게 볼 수 있는 '자율 포장대'. 소비자들은 구매한 물건이 장바구니에 담아가기 어려운 경우 자율포장대에서 빈 박스를 이용해 담아가는 등 자율포장대라는 말처럼 자유롭게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29일, 환경부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장바구니 사용 독려차원에서 앞으로는 대형마트의 포장용 빈 종이박스와 테이프, 끈 제공을 하지 않기로 했다.'는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장바구니 사용 활성화 점포 운영 자발적 협약식'을 통해 앞으로 대형마트에서 2~3개월 홍보기간을 거쳐 자율포장대에 있던 '종이상자, 플라스틱으로 만든 포장 테이프 및 끈'을 없앨 방침임을 밝혔습니다.

대신 소비자가 원할 경우 종량제 봉투, 종이상자 등을 구입할 수 있으며 장바구니를 대여해주기로 했다 합니다.

(사진 출처 - 매일 신문)

이 소식을 들은 네티즌들은 많은 불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1. 장바구니로도 해결하기 어려운 대형 물건들은 어떻게 하나?

우선 가장 큰 이유는 '장바구니'로도 해결할 수 없는 대형 부피의 물건들은 자율포장대에 있는 박스들을 사용했는데, 앞으로 종이 박스를 사용할 수 없게되면 여러 개의 장바구니를 들고 다녀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물론 한 사람이 2개의 장바구니를 들고 다닐 수는 있지만, 식구가 많은 가정의 경우는 장바구니 2개로도 해결할 수 없는 때가 많습니다. 이 때 유용하게 사용하던 '박스 포장'이 불가능해지면서 마트를 이용하는 주부에겐 큰 불편함이 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자율포장대의 빈 박스들은 재활용을 하는 것인데 무엇이 문제인가?

가장 많은 불만이 나오고 있는 부분입니다. 바로 자율포장대의 박스들은 '대형마트에서 사용하고 난 빈 박스'들을 모아 자율 포장대에 옮겨놓은 것들인데 이를 재사용하는 것이 왜 규제되어야 하나?라는 의견이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자율포장만을 위한 종이박스 생산이 아닌, 기존에 사용된 후의 종이박스를 다시 사용해서 가져가는 것이 왜 환경 오염에 해당되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많습니다.

 

 

3. 대형마트는 온갖 규제를 하는데 전통시장은?

대형마트에선 규제되는 여러 문제들이 전통시장에선 '단속이 어렵다'는 이유만으로 은연 중에 '암묵적허용'이 되고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됩니다.

환경부의 단속이 주로 이뤄지는 대형마트의 경우는 꼼꼼한 점검들이 이뤄지기 때문에 1회용 비닐 사용 등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지만, 전통시장은 단속반이 하나씩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해 아직도 많은 상인들이 '1회용 봉투 사용'에 거리낌이 없습니다.

비닐포장된 상품을 다시 1회용 봉투에 담아주는 등, 전통시장에선 해결되지 못한 부분들을 지적하면서 소비자들은 '왜 대형마트만 유독 엄격한 규제를 하는가'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습니다.

 

4. 종이박스 사용 규제로 오히려 종이박스를 사용하는 '인터넷 배송'이 인기

환경부에서는 1회용 봉투 사용 줄이기 및 환경 보호를 위한 대책으로 내놓은 부분이지만, 오히려 종이박스 규제로 인해 배달시 '종이박스'를 사용하는 '인터넷, 모바일 배송'이 증가하고 있다는 문제점도 있습니다.

주로 자율포장대를 이용해 박스포장을 한 뒤, 배달이나 집으로 운반하던 사람들이 이를 이용할 수 없게되자 모바일을 통한 배송 업체를 이용하면서 '종이 박스' 사용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배송으로 인한 종이박스 사용은 규제하지 못하고, 재활용하던 종이박스를 규제하는 환경부의 아이러니로 인한 결과를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5. 대기업의 과대포장 등은 언제 잡나?

1회용 봉투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에게는 '빈 종이박스 사용 제한' 등으로 갈수록 엄격해지고 있지만, 정작 비닐 사용 문제를 잡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부분인 '대기업의 과대포장'엔 손을 놓고 있는 환경부 때문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높습니다.

소비자들에겐 환경을 위해 불편을 감수하게 하지만, 과자를 하나씩 비닐포장하여 종이박스에 담는 등의 대기업 '과대포장' 사례들은 언제 규제할 것인지 환경부의 정책에 답답함을 느끼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